너그러운 사람에게 복이 온다
만사종관(萬事從寬)이면 기복(其福)이 자후(自厚)니라.
解釋 : 모든 일에 관용(寬容)을 따르면 복이 저절로 후하게 된다.
解說 : 매사에 관대 해야만 많은 복을 받는다.

조선 중종(中宗) 때 사람 정광필(鄭光弼)은임금에게는 바른 말을 잘 하였으나,아래 사람들에게는 항상 관대하여명재상(名宰相)이란 이름을 얻은 인물이다.

그가 젊어서한번은 전라도 암행어사로 나가게 되었다.한 고을 원이 관청의 재산을 많이 축냈다는 소문을 듣고그곳까지 오게 된 정광필은
왠일인지 곧장 관아로 달려 들어가지 않고하룻밤을 주막에서 묵고 이튿날 가자는 것이었다.

조금 이상하게 생각한 역졸이까닭을 묻자,정광필은 이렇게 말 하였다.
"무식한 무인(武人) 수령이 법 두려운 줄을 모르고나라 곡식을 축냈을 것이니,지금 들어가 조사하면죽음을 면치 못할 것이다.
이곳에서 자면 그도 반드시 우리가 온것을 알고채워놓을 것은 채워장부 정리를 할 것이다."

이튿날정광필은 사유를 갖추어 조정에 보고하여그 원님을 파직 하는데 그쳐목슴을 구명하게 해 주었다고 한다.
아랫 사람의 크나큰 과실도 관용으로 덮어 구명도생 하게 한 정광필의 너그러움과이를 탓하지 않고 어진 사람이라 칭송하여 훗날 명재상의 반열에 오르게 한 세상의 인심이 그리워서.... -하얀풍차-
|